해당 차량은 2014년 출고된 기아 올뉴모닝 TA입니다.
해당 차량은 뒤쪽 범퍼에 번호판이 있고 번호판 위에 조명 장치가 있는데 전구에 문제가 생겼거나 기타 이유로 조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번호판 전구를 비롯해 해치백을 열었을 때 켜지는 트렁크 전구, 운전석 위에 실내등 전구 모두 빼거나 교체하는 방법이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직접 교체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는 기존에 끼워져 있던 필라멘트 전구를 빼고 오른쪽 사진처럼 LED 전구로 직접 교체했습니다.
전구 규격 역시 차종 및 모델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특히 해당 차량은 연식에 따라서도 규격이 다른 경우도 있으니 전구를 주문할 때 차종 모델 연식 모두 확인하고 맞는 것으로 주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에 올뉴모닝 차량은 운전석 위에 실내등과 트렁크 전구의 규격이 같지만 이후 출고된 모델 중에는 다른 규격의 전구가 사용되는 것도 있더군요
올뉴모닝 번호판 전구 교체 방법
번호판 위에는 왼쪽 사진처럼 두 개의 전구가 끼워져 있었습니다.
전구 케이스 옆면 틈에 얇을 일자드라이버를 끼워서 걸쇠를 중앙 쪽으로 밀고 아래로 당겼더니 전구가 끼워진 상태로 커버가 아래로 빠졌습니다..
그런데 오른쪽 사진처럼 한쪽으로 전선이 연결되어 있고 일자드라이버를 끼울 때는 전선이 연결되어있지 않는 곳부터 빼내야 했습니다.
그러니까 왼쪽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걸쇠를 중앙으로 밀고 아래로 당겨야 합니다.
주의사항 : 연식이 오래된 경우 플라스틱이 경화돼서 쉽게 부러질 수 있고 저도 빼는 과정에서 걸쇠가 부러졌는데 일단 볼트로 고정해 놓고 새 부품을 주문했습니다.
번호판 조명 케이스에서 소켓 부분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야 했는데 너무 뻑뻑해서 맨손으로는 도저히 돌아가지 않았고 왼쪽 사진처럼 공구를 이용했습니다.
케이블이 연결된 소켓을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정도 돌렸더니 오른쪽 사진처럼 전구가 끼워진 상태로 소켓이 케이스에서 빠졌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전구를 소켓에서 뽑았습니다.
전구가 작고 미끄러워서 조금 뻑뻑하게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빼는 게 쉽지 않았습니다.
주의사항 : 전구를 뺄 때 펜치 같은 공구를 사용하면 전구가 깨져 위험할 수 있고 금속 일자드라이버 같은 걸로 틈에 끼워 빼내려고 하면 쇼트로 휴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해당 LED 전구는 극성이 없어서 소켓에 모양만 맞춰서 최대한 깊이 끼웠습니다.
전구를 끼운 다음 케이스에 끼워야 하는데 소켓 주변에는 3개의 돌기가 있고 케이스에 끼우는 구멍에도 3개의 홈이 있었습니다.
그중 왼쪽 사진 빨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처럼 상대적으로 넓은 부분을 맞춰 끼운 다음 소켓을 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돌려서 고정했습니다.
소켓을 빼낼 때와 마찬가지로 쉽게 돌아가지 않아서 저는 펜치 모양의 공구를 사용했습니다.
소켓을 케이스에 고정한 후 보니 오른쪽 사진처럼 빛이 나는 LED 부분이 살짝 삐딱한 상태였습니다.
반대로 돌리면 LED 부분이 아예 뒤쪽을 향했기 때문에 최대한 투명 커버 쪽으로 향하도록 했습니다.
케이스를 범퍼에 끼우기 전에 미등을 켜서 왼쪽 사진처럼 전구에 불이 켜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전선이 연결된 쪽을 먼저 최대한 깊이 끼우고 반대쪽을 하늘 방향으로 밀어 올려 오른쪽 사진처럼 끼웠습니다.
올뉴모닝 트렁크 전구 교체 방법
트렁의 전구는 따로 스위치가 없고 해치백을 열면 자동으로 켜지기 때문에 위에 사진처럼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했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커버 옆면 틈에 얇을 공구를 끼워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당겨서 빼냈습니다.
커버에는 가운데 사진처럼 잭이 끼워져 있었으며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당겼더니 오른쪽 사진처럼 잭이 빠졌습니다.
끼워져 있던 전구를 빼고 LED 전구를 끼웠습니다.
LED 전구를 끼울 때 왼쪽 사진처럼 투명 케이스 반대쪽으로 빛이 나오는 LED 가 향하면 불빛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LED 부분이 투명 커버 쪽을 향하도록 돌려줍니다.
잭을 모양에 맞춰 끼웠더니 오른쪽 사진처럼 이전보다 훨씬 밝은 빛으로 켜졌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전선이 연결된 부분을 먼저 안쪽으로 최대한 밀어 넣고 반대쪽을 눌러서 닫았습니다.
올뉴모닝 실내등 전구 교체 방법
실내등 전구 커버에는 스위치가 있는 쪽에 홈이 있었고 그 홈에 얇은 공구를 끼워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커버를 열었습니다.
그런데 왼쪽 사진처럼 플라스틱 헤라를 사용했더니 잘 안되더군요
가운데 사진처럼 작은 일자드라이버 끝에 휴지를 감싸서 열었는데 결국 오른쪽 사진처럼 흠이 생겼습니다.
위에 사진은 실내등 전구 커버를 열어놓은 모습입니다.
스위치 반대쪽에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돌기가 두 개 있으며 저 부분이 부러지면 커버가 제대로 고정이 안되기 때문에 반드시 스위치가 있는 쪽부터 아래로 당겨서 빼내야 했습니다.
왼쪽에 사진은 본래 끼워져 있던 실내등 전구의 모습으로 출고 당시 상대 그대로입니다.
전구를 아래로 당겨서 빼야 하는데 너무 뻑뻑해서 잘 빠지지 않았습니다.
가운데 사진처럼 단자 부분을 밖으로 살짝 벌려서 오른쪽 사진처럼 빼냈습니다.
그런데 단자를 벌리거나 전구를 빼낼 때 금속 공구를 사용하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퓨즈가 끊어질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장갑 낀 손으로 작업하고 공구는 전기가 통하는 않는 걸 사용해야 합니다.
전구에는 극성이 없어서 왼쪽 사진처럼 끼우고 빛이 나오는 LED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방향을 맞췄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처럼 스위치를 켜서 작동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커버만 조립하면 됩니다.
왼쪽 사진처럼 스위치 버튼이 없는 쪽을 먼저 끼우고 오른쪽 사진처럼 반대쪽을 하늘 방향으로 눌러서 끼웠습니다.
'자동차 자가정비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써티 배터리 분리 연결 순서 공구 규격 (0) | 2025.01.07 |
---|---|
자동차 점화플러그 공구 토크렌치 복스 규격 (2) | 2025.01.04 |
기아 레이 실내공기 필터 교환 빼는 방법 (1) | 2024.12.28 |
마티즈 스파크 안개등 전구 규격 교체 방법 (2) | 2024.12.25 |
싼타페DM 휴대폰 연결 통화하는 방법 목록 삭제 (0) | 2024.12.22 |